작업치료과

스킵네비게이션

학과소개교과과정

교과과정

교과과정표

과목설명 목록으로 개설과목, 과목설명 제공
교과목 명 2학년
1학기 2학기
학점 시간 학점 시간
이론 실습 이론 실습
전공과목 선택 감각과인지재활 3 2 1
전공과목 선택 근골격계작업치료학및실습 3 1 2
전공과목 선택 보조공학 2 1 1
전공과목 선택 신경계작업치료학및실습 3 2 1
전공과목 선택 신경과학 3 3
전공과목 선택 아동검사및평가 3 1 2
전공과목 선택 아동작업치료학및실습 3 1 2
전공과목 선택 연하장애 2 1 1
전공과목 선택 운동치료학및실습 3 1 2
전공과목 선택 의지보조기학 2 1 1
전공과목 선택 이학적검사및실습 3 3
전공과목 선택 일상생활활동 3 1 2
전공과목 선택 작업치료사현장실습(1)
전공과목 선택 작업치료사현장실습(2)
전공과목 선택 작업치료평가 3 3
교양과목 선택 교양선택(2학점) 2 2 2 2

과목설명표

과목설명 목록으로 개설과목, 과목설명 제공
개설과목 과목설명
감각과인지재활 지각 및 인지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인지 기능 장애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인지적 문제에 따른 중재 계획 및 중재 방법을 학습한다.
근골격계작업치료학및실습 다양한 근골격계질환에 대해 배우고,실습을 통하여 각질환별 평가와 재활론적 방법 등 작업치료 중재에 대하여 학습함로써 작업치료 실무능력을 함양한다.
보조공학 재활 분야에서 활용되는 보조공학기기(Assistive Technology Device) 이해와 사용방법 교육을 통해 적절한 보조기기의 선별 및 적용법을 학습한다.
신경계작업치료학및실습 신경계 작업치료의 개념을 학습하며 성인에게 발생되는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대하여 다양한 치료 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인체 신경계통 등의 질병에 관한 작업치료 대상 환자에 대한 신경계 작업치료학의 방법에 대한 평가와 작업치료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작업치료의 학문분야이다. 뇌졸중, 뇌손상, 척수손상, 화상 등의 성인에게 발생되는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대하여 다양한 치료 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신경과학 신경과학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의 이해를 통해 신경계 장애아동의 평가와 중재에 있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적 지식을 제공한다.
아동검사및평가 검사·평가결과를 통해서 장애아동의 특성과 서비스 요구를 올바로 파악하고 장애의 특성에 따른 중재계획 수립에 기초를 마련한다.
아동작업치료학및실습 아동작업치료를 위한 치료적 접근의 근간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발달평가와 작업치료평가 치료접근 및 실행방법을 배우는 의학이자 과학의 한 분야이다. 아동 작업치료의 치료 실제에 관하여 치료 관찰 및 평가 관련 실습을 시행한다. 발달 모델을 기초로 한 아동작업치료의 이론과 실습을 한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 성장과 발달의 특징에 대해 수업한다.
연하장애 연하장애는 관련된 신경학적 질환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있다.이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영역에서 발생하는 작업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연하곤란에 관한 임상적 평가 및 재활기기와 기법을 이용한 치료법에 대해 익힘으로써 뇌손상 등으로 인하여 연하장애나 연하곤란이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기능을 향상시켜 나갈 수있는 평가와 중재를 수행하도록 한다.
운동치료학및실습 인체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치료적 운동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론적 기초를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인체운동의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부학과 생리학의 기초적 지식을 바탕으로 재활 치료의 중요한 기법인 운동을 통한 치료법의 기전방법을 강의한다. 고전적인 운동치료에서부터 최근에 이슈화 되고 있는 접근법까지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본다.
의지보조기학 임상에서 사용되고 적용되고 있는 보조기 의지를 살펴보고,임상환경의 최신정보를 통하여 의지보조기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화상보조기와 재활로봇에 관한 내용등 임상분야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학적검사및실습 인체근육을 촉진하며, 각 관절의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방법과 근력 검사 및 감각검사 방법을 습득한다
일상생활활동 일상생활활동의 영역 및 용어 정의를 이해하고, 각 질환별 일상생활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평가 및 훈련 방법을 익힌다.
작업치료사현장실습(1) 의료기관에서 작업치료학 임상실습을 통하여,작업치료 중재방법을 배우고 실무능력을 향상한다. 질환별 다양한 임상증상을 배우고 현장에서 경험함으로써 작업치료 전공지식의 이론과 실무능력을 키운다.
작업치료사현장실습(2) 성인 및 노인의 작업치료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에 대한 다양한 경향을 알고 이해한다
작업치료평가 작업치료를 실행하기 위한 기초 평가와 특정의 원리를 소개한다. 평가 이론, 평가 절차와 방법, 평가 결과에 대한 통계적 방법 그리고 검사도구 선정과 해석을 학습한다. 작업치료 평가 과정의 시작은 클라이언트 프로파일을 평가하고 작업수행을 분석한다. 평가 과정과 면담 내용을 기초로 하여 배경을 고려한 적합한 실행 모델을 선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교양선택(2학점) 교양선택(2학점 교과목 1개 선택이수)